코인 주식 보조지표
home
비전도 (자동O)
home

비격도

이 신호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
역추세형의 조건
조건 1 기본값 1시간의 추세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빨강은 하락 추세 파랑은 상승 추세 (사진은 1분봉이라 변동성이 엄청나 보임)
역추세 형은 빨강 영역에서 롱이 추세형은 숏이 발생한다.
조건 2. 2개의 밴드를 이용한 크로스
캔들만의 방향을 이용한 밴드를 추가 한다. 변동이 감지된 영역은 푸른색과 붉은색 그라데이션으로 표시된다.
변동폭을 늘려 만든 밴드를 추가한다. 변동성 밴드에 캔들 방향을 더해 보다 안전한 위치의 진입점을 노려본다.
추세필터와 모든 조건이 겹친 부분에서는 시그널이 발생된다.
추세형의 조건
추세필터를 기존 조건으로 삼는다. 추세의 색 방향으로 시그널을 발생한다.
표시되는 선들의 의미에 대해 앞서 설명이 부족하여 추가 함.
현재의 추세는 기본값 1시간의 추세로 판단하여 상승장으로 해석되며 숏을 잡지 않는다.
또한 3분봉을 기준으로 지지와 저항을 이용해 짧은 구간에 진입한다. 역시 다분할은 필요로 한다.
롱을 기준으로 한다면 파랑 라인이 지지라인, 빨강 라인은 저항라인이다. (숏은 반대)
추가 조건. 항상 지지라인인 파랑은 빨강선보다 아래 위치해야 한다.
본 지표에서는 지지라인인 파랑라인을 무조건 적으로 하단에 위치했을때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했다.
파랑 라인이 위로 위로 갔을때는 추세의 변곡을 의미하며 시간이 흐른뒤 역행하는 캔들이 발생되곤 한다.
비격도는 이런 구간에서는 진입을 하지 않고 잘못됐을때는 손절 후 카운터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한다